f′(a)가 존재한다. ⇔ lim_{h→0}f(a+h)-f(a)/h 가 존재한다. ⇔ lim_{h→0+}f(a+h)-f(a)/h = lim_{h→0-}f(a+h)-f(a)/h 이다. 입니다. ⑤의 해설을 보시면 lim_{h→0}f(a+2h)-f(a-h)/3h 가 존재한다. ⇔ 2/3β+1/3α=2/3α+1/3β ⇔ α=β 임을 알 수 있죠. 즉, α=β ⇔ lim_{h→0+}f(a+h)-f(a)/h = lim_{h→0-}f(a+h)-f(a)/h 이므로 함수 f(x)는 x=a에서 미분가능한 것입니다.
하지만 ④의 경우는 이와 다릅니다. lim_{h→0}f(a+h)-f(a-h)/2h 가 존재한다. ⇔ 1/2β+1/2α=1/2α+1/2β ··· Ⓐ입니다. Ⓐ는 α≠β여도 성립하는 등식입니다. 즉, x=a에서의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같지 않아도 lim_{h→0}f(a+h)-f(a-h)/2h 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④는 거짓입니다.
엄밀하게 따져보아야 ④와 ⑤의 차이점을 놓치지 않고 파악하실 수 있으니, 차분히 생각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:)
신고할 시 해당 댓글이 더이상 보이지 않습니다.